본문 바로가기
우리이야기

핑계가 지배하는 사회

by 호호^.^아줌마 2010. 1. 25.

핑계가 지배하는 사회

 

박용선(나주시 금천면 원곡리)

 

문득 요즘 김건모의 ‘핑계’라는 노래가 생각난다.


‘내게 그런 핑계를 대지마 입장 바꿔 생각을 해봐 네가 지금 나라면 웃을 수 있니...’


요즘 세상이 아무리 요지경 속이라지만 모두가 남의 탓으로만 여기는 현실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천지개벽이라도 있어야 할 것 같다.

 

이것이 아니고서는 살아있는 입만으로 무리를 지어 벼라별 방법으로 자기합리화를 외치고, 또 한편으로는 시민을 볼모로 나주라는 이름에 먹칠하기를 예사롭게 생각하는 이들을 단속할 길이 없어 보인다.


나주의 정치적, 사회적 현실을 보고 있으면 적반하장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시민을 자기네들의 영욕을 달성하기 위한 도구나 수단으로 여기는 처사가 나주의 미래를 암담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고 무엇이랴.


말끝마다, 행동마다, 궁지에 몰리면 탈출구로 자주 이용되는 ‘시민의 뜻에 따라’ ‘시민을 위한 것’이라고 하는데 왜 하필이면 시민을 위한다는 것인가, 과연 시민을 위한다는 것들의 결과는 무엇이란 말인가?


서로가 탓하고 핑계로만 일관하는 모습들이 가증스러울 뿐이다. 어느 누구하나 똑바로 제자리를 지키고, 그야말로 시민을 주인으로 섬긴 적이 있는가를 되돌아보아야 할 것이다.


나주만의 자긍심을 갖는 주체적 철학은 이미 온데간데없는 뿌리조차 흔들리는 서글픈 나주의 현실, 모두가 몇 사람의 장난감이 되어 원격조정에 휘몰리는 작태들이 점입가경이라 아니할 수 없는 노릇이다.


한 사람의 시민으로써 더욱 화나게 하는 것은, 잘 된 것은 자신들이 이룬 공적이라 외치고, 잘못된 것은 남의 탓으로 이 핑계, 저 핑계를 대며 시민의 판단을 흐리게 한다는 것이다.


‘내게 그런 핑계를 대지마 입장 바꿔 생각해봐 네가 지금 나라면 웃을 수 있니?’
시끄러운 나주의 현실을 잠재울 수 있는 유일한 해법이 바로 이 노래에 담겨있다고 생각한다. 나주뿐만이 아니라 나라 전체가 어려운 상황 속에서 일부 무리들이 오히려 이런 현실을 역이용해 자신의 입신양명의 수단으로 여기고, 자기 목소리만 크면 된다는 식의 아집은 새해에는 버려야 할 것이다.


지금이라도 우리 나주사회가 갈기갈기 찢겨진 마음의 생체기를 서로 치유해줄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일에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