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병에 효험 있는 고로쇠 수액 지금 제철
2월 1일부터 본격 채취…올해 150만ℓ 47억원 소득 ‘기대’
마그네슘․칼슘․자당 등 여러 미네랄 성분이 듬뿍 들어 있어 관절염은 물론 이뇨․변비․위장병․신경통․습진 등에 효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고로쇠 수액을 2월 1일부터 본격 채취된다.
지난 25일을 전후해 담양을 시작으로 채취가 시작된 고로쇠 수액은 2월부터 본격적인 채취에 들어가 3월 말까지 150만여ℓ를 생산, 47억여원의 판매소득이 예상된다. 전남지역 고로쇠 수액 채취 지역은 순천 조계산, 광양 백운산, 담양 추월산, 곡성 봉두산, 구례 지리산, 고흥 팔영산, 화순 모후산, 장성 백암산 일대로 총 2만860ha에 62만9천그루가 분포돼 있다.
여기에 고로쇠수액은 현지에서 마셔야 제격이어서 전남도내 주요 채취지역 인근의 민박업소나 산장 등으로 매년 관광객이 몰려오고 있어 이에 따른 민박 및 향토음식 판매 등 5억여원 이상의 농외소득도 기대된다.
이를 위해 도내 주요 채취지역에서는 고로쇠 수액 시음과 함께 남도의 봄맞이 정취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행사가 개최된다.
광양 옥룡면 동곡리 약수제단에서는 3월 5일 제32회 약수제가, 구례 산동면 일원에선 3월 중순 산수유 축제기간에 고로쇠수액 시음회가, 장성 북하면 일원에선 3월 초 제6회 백양 고로쇠 축제가 각각 열린다.
전라남도는 고로쇠 수액 불법 채취로 고로쇠나무가 손상되지 않도록 산림보호활동을 대대적으로 전개하고 고로쇠 수액의 철저한 위생관리와 품질관리를 통해 소비자가 안심하고 먹을 수 있도록 행정지도를 강화한다는 방침을 밝히고 있다.
한편, 전남지역 고로쇠수액 생산량은 전국의 16%를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참살이(웰빙)식품 선호에 따라 매년 증가하고 있는 수요량에 대비해 1998년부터 2011년까지 444ha에 71만8천그루의 고로쇠 나무를 식재하고 양질의 고로쇠수액을 채취할 수 있도록 사후관리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또한 고로쇠나무 뿐만 아니라 수액 채취가 가능한 대나무, 다래, 거제수 등에 대한 자원조사와 수액 채취 방법 등을 연구해 목재 생산뿐만 아니라 부산물에 의한 농가 소득 증대를 위해 총력을 기울여나갈 계획이다.
지난해 전남도내에서는 660농가에서 고로쇠 수액 98만여ℓ를 판매해 42억원의 직접소득과 함께 음식․숙박 등으로 8억원의 농외소득을 올렸다.
'남도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 비바리 은희, 함평천지에 갈옷세상 펼쳐 (0) | 2012.02.06 |
---|---|
전남개발공사, 2012년 용지매각 나서 (0) | 2012.01.31 |
정보화마을 전자상거래로 연 77억 매출 (0) | 2012.01.22 |
2012 세계한민족여성네트워크 8월 여수에서 (0) | 2012.01.22 |
남도에 명품 녹색길 33km 조성 (0) | 2012.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