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농민들이 쌀 목표가격을 23만원으로 인상할 것과 벼멸구 피해대책 등을 촉구하며 정부의 공공비축미 수매거부 입장을 밝혔다.
“쌀 목표가격 23만원, 공공비축비 수매 거부”
나주농민회, 쌀값 보장·벼멸구 피해대책 촉구 기자회견
본격적인 추수철을 앞두고 나주지역 농민들이 쌀 목표가격 보장과 벼멸구 피해대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전국농민회총연맹 나주농민회(회장 이병련)는 지난 4일 나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쌀 목표가격 23만원 보장과 벼멸구 피해에 대한 실질적인 대책마련, 기초농산물에 대한 국가수매제 실현을 요구했다.
농민들은 “지난 2005년 추곡수매제가 폐지 된 뒤 공공비축제로 전환되면서 도입된 쌀 목표가격이 8년 째 17만83원으로 고정되어 있다”면서 “만일 노동자의 월급이 8년간 동결되었다면 어찌 되었겠냐”고 반문했다.
현재 목표가격 인상을 골자로 쌀 소득 등의 보전에 관한 법률 개정안 등이 국회에 계류 중인 가운데 농림축산식품부는 국가재정 부담을 내세워 4천원 인상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는 상태.
이에 농민들은 지난 8년간 물가상승률이 24%에 이르며, 농약, 비료, 농기계 등 농자재값은 천정부지로 올랐다면서 이중곡가제 도입으로 안정된 쌀값을 유지해 도시민과 서민생계를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농민들은 19대 정기국회에서 쌀 목표가격 23만원 가격인상이 관철될 때까지 공공비축미 수매를 무기한 거부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농민들은 수확을 앞두고 극성을 부리고 있는 벼멸구 피해가 크게 확산되고 있는데도 벼 재해보험은 제대로 보상을 할 수 없다면서 농업재해 보상법 제정을 촉구하기도.
농민들은 쌀을 포함한 주요 곡물과 채소, 과일, 축산물에 이르기까지 농업과 국민의 식생활을 보장하는 기초농산물의 생산과 유통, 가격 전반에 대해 국가가 직접 책임지고 관리하는 ‘기초농산물 국가수매제’가 하루 빨리 시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자회견을 마친 농민단체 대표들은 임성훈 시장과 면담을 요구하며 시장실을 찾았으나 임 시장이 다른 일정을 이유로 면담이 이뤄지지 않자 박은호 부시장에게 요구사항을 대신 전달했다.
'나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보험 나주지사, 소비자·시민단체와 청렴실천 캠페인 (0) | 2013.10.14 |
---|---|
허 찔린 나주시의회 그리고 의원 사직서 처리 (0) | 2013.10.11 |
혁신도시 생활폐기물 전처리시설 ‘순항’ (0) | 2013.10.06 |
나주시의회 미래산단 출자동의 정치적 책임 ‘발뺌’ (0) | 2013.10.06 |
나주역~빛가람도시 연결 빛가람로 임시개통 (0) | 2013.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