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연재…나주 목사고을시장 사람들⑬순이네식품 김순례 사장
“떡방앗간 하다 해물탕집 거쳐 야채장사까지, 인생은 돌고 도는 것이여”
“세상은 부지런하면 다 먹고 살 수 있어, 야채장사는 새벽장사가 남는 장사지”
낼 모레 마흔 바라보는 큰아들 장가 밑천 만드는 재미로 하루하루 보람 느껴
흔히 재래시장이라고 불리는 오일장은 지방에서 열린 ‘향시(鄕市)’의 한 형태로 고려시대부터 점차 그 모습을 정비하기 시작해 조선시대에 들어와 전성기를 이루었다.
언제부터 오일장의 형태를 취하기 시작했는지 확실하지 않지만, 전라도 지방에 기근이 심해 이를 극복하려고 ‘장문(場門)’이라는 향시가 열렸다는 신숙주(申叔舟)의 주장을 오일장의 시초로 본다면, 이는 대체로 15세기 중엽 이후가 된다.
목포대학교 고석규 교수에 따르면, 영산강이 흐르는 남도에서 최초로 장시(場市)가 섰다고 한다. 중종실록에 1470년(성종1년) 장문(場門)이라는 이름의 시포(市鋪)가 나주에서 처음 열렸다는 기록이 나오는데, 나주와 무안의 장시가 공식적으로 설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시장이었다는 것.
면면히 내려오던 오일장은 일제강점기에 이르러 공설시장이 생기면서 위축되기는 했으나, 오늘날까지 계속 그 명맥을 유지해 오고 있다.
그렇다고 보면 지난 2012년 나주 오일장과 매일시장이 합쳐져 만들어진 목사고을시장은 그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볼 때 우리나라 최초의 시장이라는 역사를 읽을 수 있다.
오랜 세월 남도의 물산과 경제, 서민들의 문화와 소통의 근거지였던 시장. 전남타임스와 나주목사고을시장 문화관광사업단(단장 조진상, 동신대 교수)이 공동기획으로, 서민경제의 든든한 버팀목으로서 지역경제의 한 축을 맡아왔던 목사고을시장 사람들의 꿈과 희망을 들여다본다. <편집자 주>
무심날도 장에 나와야 안심 되는 순이 씨
나주목사고을시장 광장 뽀짝 맞은편 오일장동 입구 노점에 자리 잡은 순이네식품. 어랏, 장날도 아닌데 저 집 주인장은 나와 앉아있네?
간판이 아닌 낡은 현수막에 상호와 휴대폰 전화번호가 유난히 크게 나부끼는 품새가 언제든지 전화 주문 환영한다는 주인장의 목청으로 보인다. 손님도 뜸한 시간이라 슬슬 다가가 자리를 잡고 앉았다.
“전화번호가 010-××××-8989네요? 진짜 좋은 번호 받으셨네요.”
“운수가 좋을라니까 전화번호도 딱 맞춰주네 그려. 누가 배추장사 할라고 맘이나 먹었간디?”
“장사를 하신지는 얼마나 되셨어요?”
“장사야 평생 했지, 나주 사매기에서 떡방앗간도 했고, 시청 앞에서 해물탕 전문 식당도 하고, 하다하다 안 돼서 야채가게 차려서 나온 지 7년째여.”
“장날도 아닌데 나와 계시면 매일시장동 사람들이 안 좋아하지 않을까요?”
“그 쪽으로 가는 손님 따로 있고, 이쪽으로 오는 손님 따로 있응께 뭔 문제 있을랍디여? 우리도 회비 내는 상인회 회원인디...”
대답은 하면서도 여전히 손놀림을 멈추지 않는 모습이 영락없이 억척 시장아줌마다.
순이네식품 주인장 김순례 씨
상호가 ‘순이네식품’이라 이름이 순이 씨냐고 물었다. 아니란다, 이름은 김순례인데 사람들이 순이, 순이 해서 순이네식품이라 지었단다.
순이네식품 주인장 김순례(57·나주시 송월동)사장, 어디서 많이 본 듯한 얼굴에 곰곰이 생각하니 영화 ‘해바라기’에서 열연하던 이탈리아 연기파 여배우 ‘소피아 로렌’을 닮은 듯하다.
슬쩍 웃으며 “소피아 로렌을 아시느냐? 닮은 것 같다” 했더니 “소피가 노래? 당뇨가 있는 갑구만...”하며 즉석에서 농담을 받으시는 게 여간한 재담꾼이 아닌 듯하다.
김순례 씨는 하루일과는 새벽 3시 반에 시작된다. 이른 새벽에 일어나서 4~5시에 광주 매월동 새벽 공판장에 나가 그날그날 공판 받은 배추를 직접 뜯어서 맛을 보고 쪼개서 속을 들여다 다음에 주문을 한다.
속잎이 꼬불꼬불 한 것은 나이 먹은 것이고, 속이 노랗고 윤기가 자르르 해야 제 맛이라는 것. 이렇게 하루를 열어 좁디좁은 좌판에 배추, 무, 시금치, 호박, 당근, 쪽파, 미나리 등 각종 싱싱한 야채를 진열해 놓으면 단골 식당주인들이 기다렸다는 듯이 물건을 찾는다.
아침 일찍 골라온 야채들이 거의 팔려나가고 잎이 시들어진 배추를 손질하는 것으로 어김없이 그의 하루가 지나고 있다.
“일하는 그 자체가 나한테는 참 귀하다는 생각이 들어.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것은 싫지만,
아침에 일어나 일을 나갈 수 있다는 그 자체가 행복인 거지.
아프지 않고 건강만 하다면 무엇이든지 다 할 수 있을 것 같어.”
큰아들 장가밑천 대는 것이 숙제
매일 매일 지루하고 똑같은 일상의 반복이지만, 김순례 씨에게는 소망이 있다.
아들 셋이 있는데 둘째, 셋째는 장가를 보냈는데, 큰아들이 아직 장가를 가지 않고 있다는 것. 그래서 큰아들 장가밑천이라도 벌 요량으로 쉬는 날 없이 가게를 열고 있는데, 손이 바쁜 날은 큰아들이 찾아 와 한 몫을 거뜬히 해주는 것이 든든할 뿐이다.
한동안 사매기떡방앗간을 임대해 운영하기도 했고, 나주시청 앞에 번듯한 해물탕집을 내 성업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식당도 경기를 많이 타는지라 장사가 잘 될 때는 잘 되지만, 안 될 때는 하루 벌어 하루 먹기도 어려운 지라 어쩔 수 없이 야채장사를 시작했다.
처음에는 콘테이너 박스 몇 개를 길거리에 놓고 야채 노점을 시작했다. 이후, 밭떼기 농사도 같이 번갈아가면서 했다. 아침에는 야채장사를 하고 밤에는 밭일을 했다.
야채장사의 길은 순탄치 만은 않았다. 당시 주변상인들이 장사를 안 하던 사람이 와서 장사를 한다고 뭐라고 해 남모를 고충을 겪기도 했다. 하지만 그는 상인들에게 열심히 장사하는 모습을 보이니, 나중엔 주변상인들이 인정해줬다고 했다.
“시장에서 장사 해먹고 사는 사람들이 다들 인생이 고달픈 사람들 아녀. 내가 어려우면 남도 어려울 것이라 생각하고 받아들이는 것이제. 그래서 인심은 장에서 난다 한 것이여.”
일터가 있다는 것만으로도 행복한 인생
언제까지 장사를 하실 거냐는 질문에 “내 팔자가 놀 팔자는 아닌 것 같으니까, 아마도 숨 놓을 때까지 하겠제?” 하는 표정에서 다시 한 번 ‘소피아 로렌’의 그 시원스런 미소가 떠올랐다.
“돈을 많이 버는 것도 아니지만, 일하는 그 자체가 나한테는 참 귀하다는 생각이 들어.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것은 싫지만, 아침에 일어나 일을 나갈 수 있다는 그 자체가 행복인 거지. 아프지 않고 건강만 하다면 무엇이든지 다 할 수 있을 것 같어.”
요즘 재래시장 경기가 안 좋다고들 하는데 앞으로 시장경기를 어떻게 보느냐는 김순례 씨의 대답이 명답이다.
“나도 하루에 500~1000원짜리 야채 팔면서 벌이를 하는데, 번듯한 가게에 간판 달고 장사하는 양반들이 그런 소리하면 쓴당가. 내가 부지런하면 밥은 먹고 살아요. 다른데 헛돈 안 쓰고 자기 일 열심히 하면 되는 것이제."
앞으로 꼭 이루고 싶은 희망은 무엇이냐고 물었다.
“희망사항이 뭣이냐고라우? 첫째도 건강, 둘째도 건강이제라우. 글고 또 한가지는 우리 큰아들 장가가서 언능 떡두꺼비 같은 손주나 안아 봤으면 좋겠소.”
비록 세파에 시달려 깊게 팬 주름이나마 ‘소피아 로렌’의 미소를 닮은 김순례 아줌마의 소망이 머지않아 이루어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자리를 일어서는데 금성산 월정봉으로 뉘엿뉘엿 넘어가던 노을의 붉은 빛이 순희네식품 현수막을 비춘다.
◇ 목사고을시장은 청소년들에게도 유익한 배움의 현장이다. 나주상업고등학교 사진동아리 학생들이 시장을 둘러보며 생생한 삶의 현장을 카메라에 담고 있다.
'나주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주 목사고을시장 사람들⑮ 카페마르쉐 오승환·박종숙 부부바리스타 (0) | 2014.11.19 |
---|---|
나주 목사고을시장 사람들⑭ 참맛김치 김수미 사장 (0) | 2014.11.13 |
신정훈 의원 태풍피해 융자금 상환연기 이끌어내 (0) | 2014.10.29 |
제1회 백호임제문학상 소설가 이명한 선정 (0) | 2014.10.29 |
나주 목사고을시장 사람들⑫ 손가네호떡 손귀남·한정례 부부사장 (0) | 2014.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