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도이야기

전라남도, 한우산업 경쟁력 강화대책 추진

by 호호^.^아줌마 2012. 2. 13.

 

전라남도, 한우산업 경쟁력 강화대책 추진

조사료재배 10만ha 확대․한우암소 도태장려금 54억 지원

 

 ◇ 전라남도가 지난 7일 한우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조사료재배면적을 10만ha로 확대하고 한우암소 도태장려금 54억원을 지원하는 등의 ‘한우산업 안정 종합대책’을 밝혔다.

 

 

전라남도는 한우산업의 생산비 절감 및 유통구조 개선 등을 위해 오는 2016년까지 9천483억원을 투입하는 ‘한우산업 안정 종합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한우산업 안정 종합대책은 최근 한우 사육 과잉과 소비 감소, 국가간 FTA 체결로 인한 수입량 증가 등으로 소 값이 지속적으로 하락해 농가의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됨에 따라 이를 해소하고 한우산업을 농가 소득산업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종합대책의 기본 방향은 ▲생산비 절감 및 품질 고급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 ▲유통구조 개선 및 가공․유통을 통한 소비자 신뢰제고 ▲한우 사육 감축 및 소비 촉진 등 3개 분야 23개 사업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오는 2016년까지 44만마리 수준으로 사육 수 안정, 친환경축산물 전국 50% 생산, 경영비 15% 절감, 유통비용 20% 절감, 1등급이상 고급육 80%로 확대시켜 한우산업을 농가소득 산업으로 정착시키고 대외경쟁력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분야별로 생산성 향상과 품질 고급화 방안으로 조사료 재배 면적을 3만2천ha에서 10만ha로 확대하고 600농가의 축사를 동물복지형 축사로 개선하고 농가에 우량 송아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생산기지 5개소를 육성키로 했다. 또 송아지생산안정제 가입을 확대해 송아지 가격이 안정 기준가격(185만원/6~7개월령) 이하로 하락할 경우 마리당 40만원까지 보전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특히 지난해 타 도에서 구제역, AI 발생으로 엄청난 재정적 손실과 사회적 이슈가 된 사례를 거울삼아 591개의 공동방제단, 427명의 예찰요원 등 동원가능한 모든 인력 및 장비를 활용해 선제적 방역으로 생산성을 높여 나갈 방침이다.

 

시장 차별화 및 유통구조 개선 방안으로 소비자 신뢰 확보를 위해 친환경축산물 인증을 기존 1천500호에서 8천호까지 확대하고 축산물의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산지 축산물 가공시설을 81개소에서 200개소까지 늘리며 직거래 활성화를 통한 안정적인 소비처 확보를 위해 수도권에 브랜드가맹점을 20개소에서 120개소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한우 사육 감축방안으로 사육수를 51만마리에서 2016년까지 44만마리 수준으로 감축하기 위해 미경산우(송아지를 생산하지 않은 암소)에는 50만원, 경산우(송아지를 생산한 암소)에는 30만원의 암소 도태장려금을 지급해 1만8천마리를 도태하고 60개월령 이상 된 저능력 암소는 자율 감축토록 유도키로 했다.

 

쇠고기 소비 촉진을 위해서는 농․축협, 브랜드경영체에서 40~10%까지 지속적으로 할인 판매토록 하고 산지가격 하락 폭이 소비자 가격에 반영되도록 관련 기관과 협조체제를 유지하며 군납 돼지고기 및 수입쇠고기를 국내산 쇠고기로 대체 공급토록 추진한다.

 

도는 한․미 FTA 체결 등 시장개방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동물복지형 녹색축산 5개년계획과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산지 축산물가공시설 확대 정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면서, 앞으로 마을․도로․강 인근에 위치한 축사는 이전 또는 폐쇄토록 하고 축산시설을 단지화․규모화해 가공공장도 함께 들어서도록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한편, 전남도가 한우산업 안정을 위해 중앙정부에 건의한 한우 암소 도태장려금 지원, 특별사료구매자금 상환 연장, 육우 송아지고기 상품화 등이 반영돼 도의 한우산업 육성사업에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전라남도 한우산업 안정 종합대책

 

지속적인 소 값 하락으로 인한 농가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한우산업을 농가 소득산업으로 정착시키기 위해「한우산업 안정 종합대책」을 적극 추진

? 한우가격 안정대책 추진

쇠고기 소비 촉진으로 산지 소값 안정 도모

- 농·축협 판매장을 전진기지로 활용 10~40% 할인판매

- 수도권 아파드 단지 시군 직거래 장터 운영, 온라인 쇼핑몰 판매

* 일반식육판매업소 및 음식점의 소비자 가격 인하·견제 유도

한우암소 도태장려금 지급 : 18천두 54억원(전국 10만두, 국비)

- 지원단가 : 24개월령이내(50만원), 45개월령이내(30만원)

○ 산지가격이 소비자 가격에 반영되도록 체계 강화

- 식육점협회, 음식업협회 등에 한우고기 소비자가격 인하 유도

※ 전망 : 사육두수는 안정대책 추진으로 감소, 산지 소 값은 하락세 유지

- 사육두수 : ’10) 292만두/49 → ’11.9) 304/53 → ’11.12) 295/51

- 산지가격(600kg 수소) : ’10) 4,840천원 → ’11) 3,900 → ’12.2) 3,500

? 조사료 생산 확대로 생산비 절감

자급률 향상으로 수입사료 대체

- 생산면적 3배 확대 : ‘11)32천ha → '12)50 → '15)90

- 전국 점유율(1위) : 생산면적 32%, 생산량 40%, ‘12년 자급률 100% 달성

※ 생산비 절감 효과 : 두당 267천원(‘12년 1,400억원)

○ 대규모 들녘 단위 집단 생산단지 조성

- 료 특구 지정(500ha/개소) : 20개소(매년 4개소), *개소당 20억원 인센티브 지원

※ ‘12년 추진 : 고흥, 보성, 영광, 해남

- 조사료 전용단지 조성(100ha/개소) : 시군당 1개소 이상, 4계절 조사료 생산

? 가축사육환경 개선으로 동물복지형 축산 실천

축사시설현대화사업 지원 확대 : ‘11)93호/186억원 → ’12) 342/872

- 축사 개․보수, 내부시설 등 지원(소규모 농가는 전업규모 확대 시 지원)

- 지원한도 : 한우 2억원, 젖소 3, 돼지․산란계․종계․종오리 10, 육계․오리 7 등

※ 친환경 인증, HACCP 지정 및 가축운동장 확보농가 우선 지원

자연 면역력 획득을 위한 운동장 부지 구입비 융자 지원

- ‘11) 482호 → ’12) 1,100 → ‘13) 3,000

마을․도로․강 주변 축사이전 추진으로 쾌적한 농촌환경 조성

- 축사시설 현대화, 녹색축산육성기금, 농어촌진흥기금, 농업종합자금 지원

? 축산물 가공․유통 활성화 및 유통구조 개선

축산물 도축․가공 등 종합처리를 위한 축산물종합 유통센터 건립

- 1개소/600억원(농협중앙회 운영)

- 1일 소 200두, 돼지 3,000두 처리(도내 처리물량의 50%)

축산물 완제품 가공․판매시설 확충

- 햄, 소세지 등 완제품 생산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권역별로 1~2개소)

직거래 확대로 유통단계 축소 및 판매가격 인하 유도

- 수도권 아파트 단지에 브랜드가맹점 개설 : ‘11)20개소→ ’15)100

- 축종별 유통회사, 브랜드경영체를 통해 임대료 및 인테리어비용 지원

․ 지원규모 : 개소당 5억원이내 융자 지원(연리 1%, 녹색기금)

* 사례) 녹색한우, 순한한우, 장흥한우 등(시중가 보다 20~40% 저가 판매)

※ 품목별 유통회사 : 녹색한우, 녹색계란, 녹색흑염소, ․녹색돼지, 장흥한우

 

? 친환경 축산물 생산 확대로 시장 차별화

‘12년 친환경 축산물 인증 전국의 50% 달성(현 36%로 전국 1위)

- 인증 목표 : ‘11)2,101호 → ’12) 4,500 → ‘15) 10,000

- 정책자금 지원 농가, 전업규모, 유통회사 및 브랜드 참여농가 우선 인증

농장에서 식탁까지 축산물 안전시스템(HACCP) 구축

- HACCP 지정 확대 : ‘11)593개소 → ’12) 700 → ‘15) 2,000

- 축종별 조직화를 통해 생산부터 가공․유통까지 안전축산물 생산

? 도 정책자금 지원 확대

도 자체기금 조성 확대(‘15년까지)

- 농어촌 진흥기금 1,386억원 → 2,400, 녹색축산기금 315억원 → 800

※ ‘12년 지원계획 : 농어촌진흥기금 410억원, 녹색축산기금 150억원

- 이자율 인하(‘12년부터) : 2% → 1%, 상환기간 : 5년 → 7년

농업종합자금 이차 보전 : 연리 3% 중 2% 이자지원, 최대 3년간

- 대출규모 : 1,000억원(생산․가공․유통․수출분야)

- 이자차액 보전 재원 : 도(시군)비 20억원

신용보증 지원 : 담보․신용 부족사업자에게 보증서 발급

- 보증 규모 : 500억원(영세농가, 축산물가공․유통 경영체 우선 지원)

- 도(시군)비 60억원 전남신보에 특별 출연 

※ 한우가격안정대책 관련 대정부 건의사항

한우암소 도태장려금 지원 : 두당 50~30만원(반영)

‘08~'09년 특별사료구매자금 상환 연기(반영)

- 상환 기일이 ‘12년 말까지인 농가 1년 연장(금리 3%) * 당초 1%

축산경쟁력강화기금(10조), 배합사료가격안정대책(2조원) : 검토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