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이야기208

김진수의 들꽃에세이<67>산사나무(山査子) 김진수의 들꽃에세이&lt;67&gt;산사나무(山査子) 소화를 돕고 피를 맑혀주는 산 과일…산사나무(山査子) 학명: Crataegus pinnatifida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활엽소교목 산사(山査)라는 이름은 ‘산(山)에서 자라는 아침(旦) 나무(木)’란 뜻이다. 숲으로 드는 산문(山門)에서부터 산사(.. 2015. 2. 5.
김진수의 들꽃에세이<66>갈대(蘆根) 김진수의 들꽃에세이&lt;66&gt;…갈대(蘆根) 담수생태계와 해양생태계의 역동적 중재자…갈대(蘆根) 학명: Phragmites communis Trin. 쌍떡잎식물강 화본목 벼과 갈대속의 여러해살이풀 ‘갈대’의 ‘갈’은 가늘다 또는 작다는 뜻의 접두사이고, ‘대’는 줄기가 대나무 마디를 하고 있어서 붙여.. 2015. 1. 23.
김진수의 들꽃에세이<65>산부추(薤白) 김진수의 들꽃에세이&lt;65&gt;…산부추(&#34212;白) 맵고 따뜻한 향기로운 나물…산부추(&#34212;白) 학명: Allium thunbergii G.Don 외떡잎식물강 아스파라거스목 백합과 부추속의 여러해살이풀 학명의 알리움(Allium)은 백합과 부추속 식물의 총칭이다. 『산부추』의 작은 꽃잎은 여섯 장으로 별모양.. 2015. 1. 9.
김진수의 들꽃에세이<64>팽나무(朴樹皮) 김진수의 들꽃에세이&lt;64&gt; 팽나무(朴樹皮) 역사와 전설과 고향으로 트인 길목…팽나무(朴樹皮) 학명: Celtis sinensis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교목 우리나라 정자목 가운데 느티나무 다음으로 많은 나무는 『팽나무』이다. 20m 이상으로 키가 크고, 500에서 1000년을 헤아리도.. 2014. 1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