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주사람들

나주역 댕기머리사건의 주인공 이광춘 선생 별세

by 호호^.^아줌마 2010. 4. 12.

 

나주역 댕기머리사건의 주인공 애국지사 이광춘 선생 별세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중심인물 이광춘 여사가 12일 별세했다. 향년 96세.


광주학생독립운동은 1929년 10월 30일 일본인 중학생이 당시 광주여고보에 재학 중이던 이광춘과 박기옥을 희롱하는 사건을 시작으로, 1929년 11월 3일 광주고보와 광주농업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전개된 시위운동이다.


당시 이광춘은 광주여고보 학생들을 주도하여 운동에 참가하였다가 일경에 체포되어 가혹한 고문을 받았으며, 1930월 1월 13일 백지동맹을 주도하다 학교에서 퇴학처분을 받고 일경에 수감되어 갖은 고초를 겪었다.


정부에서는 선생의 공적을 기리어 1996년 건국포장을 수여하였다. 유족으로는 5남 3녀가 있으며, 발인은 14일 11시, 장지는 국립대전현충원이다.

 

빈소 : 광주보훈병원 6분향실. (062)973-9166. 2남 임운규(010-2683-5959)

 

 

 

광주학생독립운동과 이광춘 선생

 

학생독립운동은 흔히 3·1운동, 6·10만세운동과 함께 일제강점기 국내에서 전개된 3대 독립운동의 하나로 평가된다.

 

지금부터 81년 전인 1929년 10월 30일 오후 5시 35분경 나주역에 통학생을 포함한 30여 명의 승객들이 하차하였다. 개찰구에서 광주중학교 복전수삼(福田修三) 등 3명의 일본인 학생이 광주여고보 박기옥, 이광춘 등 여학생들을 밀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를 본 박기옥의 사촌동생이자 광주고보 2학년생인 박준채가 복전을 꾸짖었고 언쟁을 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복전이 “조선인인 주제에”라는 모욕적인 발언을 하자 격분한 박준채가 구타하여 서로 격투가 벌어졌다. 이 사건은 여기서 끝나지 않고 11·3학생독립운동으로 폭발하였다.


11월 3일, 이날은 당시 우리민족 최대 명절 가운데 하나였던 음력 10월 3일 개천절이자 일요일이었지만 학생들은 학교에 나가 명치절(일본의 근대화를 시작한 명치천황의 생일) 기념식에 참가해야 했다.


학교에서 열린 명치절 기념식에서 기미가요(일본국가)를 부를 때 침묵으로 저항하던 광주고보생들은 신사참배도 거부하고 시내로 나와 곳곳에서 충돌했다. 그런데 이 시위는 이날에만, 그리고 광주에만 머물지 않았다. 광주의 시위는 전국적으로 커다란 반향을 일으켰다.


학생독립운동은 이듬해인 1930년 3월까지 全조선으로, 또한 해외까지 번져나갔다. 즉, 나주에서 시작된 작은 독립의 불씨가 무려 5개월 동안 광주를 거쳐 전국 적인 독립운동으로 불타오른 것이다.


그런데 나주인들은 단지 학생독립운동의 도화선 역할만 한 것이 아니었다.


당시 광주로 통학하던 나주학생들은 10월 30일 발생한 나주역 사건에 이어 11월 3일의 1차 시위와 11월 12일의 2차 시위 다음해 1월 8일 광주고보와 광주여고보의 백지동맹 등에 앞장섰다.


또한 신간회 나주지회와 나주청년동맹에서 항일운동을 주도하던 박공근은 11월 27일 농업보습학교 학생들과 나주공립보통학교 5, 6학년 학생 250여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시위를 성공시킴으로써 학생독립운동을 전국으로 확대시키는데 기여했다. 나주인들은 한마디로 학생독립운동의 발생과 확대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이다.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학생독립운동은 우리가 살아가는 ‘지금, 여기’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나주출신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주인공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