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주사람들

영산강 살리기 ‘물·문화·경제 살리는 계기로’

by 호호^.^아줌마 2009. 6. 7.

영산강 살리기 ‘물·문화·경제 살리는 계기로’

영산강 오염의 주범 광주시 압박해야 ‘다수’

“목표 좋지만 방법에 문제 있다” 신중론도

 

 

영산강 살리기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과 뱃길 복원에 대한 지역여론 환기를 위한 토론회가 지난 4일 나주문화예술회관에서 열렸다.

 

나주시와 나주시의회가 공동으로 마련한 이날 토론회는 각계 전문가와 시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자연생태환경으로서 영산강 살리기와 문화·관광자원으로서 영산강 개발 방향을 두고 열띤 토론이 벌어졌다.

 

‘영산강 350리’의 저자인 향토지리연구소 김경수 소장은 영산강의 어제와 오늘을 대비하는 다양한 자료화면을 통해 영산강이 추구해야 할 문화적 정체성을 찾는 일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김 소장은 특히 “나주시가 영산강과 아무런 상관이 없는 주몽 촬영장이나 영상테마파크 같은 사업에 행정력을 쏟을 것이 아니라 현재 방치되고 있는 영산창 복원 등의 사업을 통해 영산강이 갖는 문화적인 정체성을 바로 세워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경수 소장                                              

 

이어서 초당대 조기안 교수는 ‘영산강은 우리에게 무엇인가’라는 주제를 통해 “영산강 살리기 사업의 방향을 치수(治水)에 둘 것인지, 이수(利水)에 둘 것인지 중심을 잡는  일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조 교수는 “영산강물이 농업용수 등으로 사용하는 데 지장이 없고 어장 피해가 없는 범위 내에서 부분적인 해수유통을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한편 “영산강 중·하류에 수변생태벨트를 조성해 농경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통한 영산강 수질개선을 도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조기안 교수

 

이어서 동신대 이정호 교수는 ‘영산강 고대문화의 효율적인 복원방안’에 대해 “영산강은 역사적으로나 고고학적으로 고대문화의 보고(寶庫)라는 점에서 두말할 나위가 없다”고 전제하고 “앞으로 추진되는 영산강 살리기 사업을 통해 영산강뿐만 아니라 주변의 자연환경까지 문화자원으로 활용해야만 영산강의 가치가 살아날 것”이라고 제언했다.

 

한편, 토론자로 나선 동신대 조진상 교수는 “영산강이 나주만의 것이라는 생각에서 벗어나 강도 살리고 지역도 살리는 방향으로 사업이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

 

또 ‘소설 표해록’의 저자인 영강초등학교 윤영근 교사는 “영산강 등대를 50m 이상 높여 영산강의 랜드마크로 삼고 자전거길과 연계해 영산강 유역 정자문화를 순례하는 관광코스 개발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정호 교수

 

영산강뱃길연구소 김창원 소장은 “영산강 오염의 70~80%는 광주시의 생활하수와 산업폐수, 비점오염원 등이 원인”이라고 지적하며 “나주를 비롯한 영산강 주변의 자치단체들이 광주시를 상대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수질개선 대책을 강구할 수 있도록 강력히 촉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고막원교회 김병균 목사는 “인공보와 인위적인 준설은 환경오염을 부추길 뿐이며, 저류지에서 물을 빼고 막고 하는 방법 등을 통해 물은 자연히 흐르도록 해야 한다”는 논리를 폈다.

 

특히, 김 목사는 “현재 추진하고 있는 영산강 살리기 사업이 목표는 그럴듯하지만 방법에 있어서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나주시의회 김판근 경제건설위원장은 “영산강 뱃길복원은 수질개선을 통한 생태환경복원이 전제된 가운데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하며 “정부 차원에서 친환경농업과 강 오염을 막기 위한 수질오염 개선대책이 먼저 세워져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토론회는 토론진행자의 미숙과 시민들의 참여부족으로 다소 맥빠진 분위기 속에서 진행된 가운데, 토론회를 주최한 시의원들마저 끝까지 자리를 지킨 의원이 서 너 명에 불과한 가운데 공무원들 역시 기념식이 끝난 뒤 줄줄이 자리를 떠 연사들만의 토론회라는 아쉬움을 남겼다. / 김양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