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이야기

쇼팽 피아노협주곡 제2번 F단조

by 호호^.^아줌마 2011. 11. 4.

 

Piano Concerto No.2 in F minor, op.21

쇼팽의 피아노협주곡 2번 바단조

Fryderyk Franciszek Chopin 1810-1849

1악장, Maestoso - 전악장 연주

piano Krystian Zimerman

     

쇼팽(1810~1849)은 평생동안 거의 피아노곡만을 작곡했고 음악사를 통틀어 피아노란 악기를 얘기할 때 쇼팽과 견줄만한 작곡가는 드물다. 쇼팽은 2개의 피아노 협주곡을 남겼는데 두 곡 모두 청년기에 작곡하였다. 그래서 쇼팽의 피아노 협주곡은 관혁악부의 상대적 미비함에도 불구하고 청년기 쇼팽의 예민한 감수성이 배어있어 더없이 애틋하고 아름답다.

쇼팽은 1829년 19세에 피아노 f단조 협주곡을 작곡하나 유럽 여행 중 이 악보를 분실한다. 그래서 1830년 작곡한 e단조 협주곡이 1833년 피아노 협주곡 1번으로 먼저 출판되고 뒤이어 1836년 f단조 협주곡이 피아노 협주곡 2번으로 출판된다. 사실상 피아노 협주곡 2번이 쇼팽의 첫번째 피아노 협주곡인 셈이다.

     

쇼팽의 피아노 협주곡 2번은 쇼팽의 첫사랑이었던 콘스탄티아에 대한 젊은날의 연민과 고뇌가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특히 2악장 라르게토는 첫사랑 콘스탄티아에 대한 청춘의 애환과 순정이 그대로 건반으로 옮겨져 건반 하나하나에 쇼팽의 애틋한 마음을 느낄 수 있다. 마치 밤하늘의 별이 쏟아 질 듯이 아름답다. 별이 많은 밤에 이 대목을 들어 보면, 피아노의 한 음 한 음이 모두 별을 그려내는 듯하여 절로 감탄이 나올 정도이다.

쇼팽이 혁명의 불꽃을 피하기 위해 고국 폴란드를 떠났던 것은 1830년 11월 그의 나이 20살 때였다고 합니다. 바르샤바에서의 공개 연주회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 폴란드의 흙을 밟지 않았던 쇼팽. 그가 남긴 2곡의 피아노 협주곡은 모두 파리로의 망명 직전에 완성된 작품들입니다. 이 두 작품은 그 작곡배경에 있어서 공통적인 면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것은 두 곡 모두 쇼팽의 안타까운 첫사랑이었던 여가수 콘스탄쩨 글라드코브스카(Konstanze Gladkowska 1810-1889)에 대한 사랑으로 황홀하리만치 아름다운 이 곡을 만들어 냈다는 사실입니다. 비록 쇼팽의 일방적인 짝사랑으로 끝나기는 했다지만 쇼팽은 자신의 음악원 후배이기도 했던 이 오페라 여가수를 끔찍히도 사랑했던 것이고 그녀에 대한 바로 그러한 뜨거운 마음으로부터 이같은 감미롭고 서정적인 분위기의 피아노 협주곡들이 탄생케 되었던 것입니다.

   

1번 2악장의 느린 로만체는 달콤하기 그지 없으며, 도취적인 기분이 들 정도로 아름답다. 2악장을 쓸 때 쇼팽은 친구에게 편지를 보냈다.

"낭만적이고 조용하고 감상적인 마음으로 썼다. 나의 즐거웠던 추억들을 생각하며..."라고 표현한 것은 바로 쇼팽이 사랑했던 여인과의 기억을 되살리는 것이며, 고국을 떠나는 자신만의 이별 의식이었다.

이 ''피아노협주곡 2번 F 단조''를 감상하시면서 특히 Larghetto로 느리고 우아하게 연주되는 이 2악장을 감상하시면 ''피아노협주곡 1번 E 단조''에서와 비슷한 느낌을 상당히 많이 받으실 것입니다. 가슴 속으로 남 몰래 뜨거운 사랑을 시작한 약관의 청년 쇼팽(chopin)의 연분홍 감정, 황홀하리만치 아름다우면서도 감출래야 감출 수 없는 설레임과 부끄러움이 선율 속에 고스란히 녹아들어 승화되어 있음을 느끼실 수 있을 것입니다.

 

제1악장 Maestoso (마에스토소) f단조 4/4박자.

소나타현식 처음에 오케스트라의 연주로 제시부가 나오고 그후 제1테마가 노래조로 나타난다. 다시오보가 제2테마를 연주한후 제1바이올린이 이어받고 피아노로 넘어간다.

 

제2악장 Larghetto (라르겟토) A장조 4/4박자.

자유로운 론도형식. 첫사랑의 소녀를 생각하며 작곡한 이곡에는 정서가 충만하게 흘러넘치는데 , 쇼팽의 순정이 단적으로 표현된것이라 하겠다. 형태는녹턴형식을 띠고 있는데, 처음에 우아하고 달 콤한 테마가 반복된다.에리하고도 어둡고 정열적인 중간부를지나 테마가 재현된다.

 

제3악장 Allegro vivace (알레그로 비바체) F단조 3/4박자.

론도형식 제1테마가 피아노로 연주된다. 전악장은 마주르카풍의 리듬을 가진 테마로 구성된다. 향토성이짙고 화려하게 즉흥적인 발전을 보이는 환히에찬 악장이다.

     

쇼팽이 막 20세가 되었을 무렵에 이제 막 완성한 피아노 협주곡 f단조를 바르샤바 국립 극장에서 초연했던 것은 1830년 3월 17일 이었다. 이 연주는 크게 성공하여 5일후 다시 연주하여야 했다. 기로베츠, 리스, 모쉐레스, 그리고 훔멜과 같은 당시 그에게 친숙했던 당대 바르샤바 최고의 작곡가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기교적인 양식을 따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쇼팽은 거기에 그만의 독특한 시적 감수성을 더하고 있다. 관현악 부분의 빈약함이 작품의 출판을 지연시켜 그 뒤에 작곡된 e단조 작품11이 먼저 출판되고 나서야 세상에 나오게 되었다. 그래서 f단조 협주곡의 작품번호가 e단조 보다 뒤가 되었고 사람들도 대개 이것을 2번 협주곡이라 여기게 되었다.

기본적으로는 고전주의적 소나타 형식을 따르고 있는 작품이다. 시작부분은 당당하고 거만한 듯한 f단조의 제1주제와 훨씬 서정적인 A플랫 장조의 제2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제1주제와 제2주제는 모두 오케스트라에 의해 먼저 제시되고 그 후에 건반악기다운 매력적인 장식음들을 수반한 아름다운 독주부가 뒤따른다. 발전부와 재현부 전체를 통해 피아니스틱한 기교가 매우 화려하게 표현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한 형식적인 카덴짜는 필요없다.

A플랫 장조의 느린 악장은 젊은 쇼팽이 당시 유행하던 이태리 오페라의 벨칸토를 얼마나 사랑했는가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성악과(科) 학생이었던 콘스탄티아 그라드고프스키에 대한 그의 사랑을 고백하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관현악의 반주가 곁들여진 녹턴 같은 양식으로 시작과 끝 부분에서는 섬세한 장식음들로 꾸며진 아름다운 노래가 목가적인 아름다움을 노래하고 있다. 그러나 가운데 부분은 정열적이다.

가벼운 왈츠로 시작하는 마지막 악장은 현악기의 인상적인 꼴 레뇨(활등으로 연주하는 것) 반주 위에 마주르카 같은 제2주제를 갖고 있어 민족주의적인 음악을 들을 수 있다. 이것은 자유로운 발전부와 재현부에서 쇼팽은 특별한 상상력을 자극했음이 틀림 없다. 적어도 협주곡이 F장조로 돌아오고 있음을 알리는 혼의 울림이 얼마나 훌륭하게 변형되어 있는가를 알 수 있다.

Martha

Argerich

Piano

National Symphony Orchestra of Washington. D.C.

Mstislav Rostropovich

 

파워 우먼 - 마르타 아르헤리치

아르헤리치는 94년, 기돈 크레머와의 내한 연주회에서 피아노 현을 끊어뜨리는 시범 아닌 시범으로 가공할 만한 파워와 타건의 집중력을 한국 팬들에게 확인시켜 준 바 있다. 그녀는 20세기 후반을 풍미한 명피아니스트임에는 틀림 없다.

그녀를 특별히 여류라는 꼬리표를 달아 따로 분류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의 연주는 남녀를 통틀어도 스케일이 크고 힘차며 역동적인 편에 속한다.

여성적인 섬세함에다 남성이 무색할 만큼 강렬한 터치를 개성으로 삼는 아르헤리치는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아이레스 태생이다(1941년생). 5세 때 빈센초 스카라무짜(Vicenzo Scaramuzza)에게서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고, 가족들이 유럽으로 이주한 후에는 유명한 피아니스트 프리드리히 굴다(Friedrich Gulda), 니키타 마갈로프(Nikita Magaloff), 스테판 아스케나제(Stefan Askenase)의 문하에서 연마했다.

1957년, 제네바 콩쿠르와 볼자노 콩쿠르에서 잇달아 우승을 차지했고 1965년엔 대망의 쇼팽 콩쿠르에서 우승하여 일약 스타덤에 올라선다.

19세기와 20세기의 작품들을 비롯해서 바하에서 베토벤, 슈만, 리스트,드뷔시,라벨, 바르톡에 이르는 레퍼토리를 섭렵하고 있는 아르헤리치는 개개의 작품이 지니고 있는 속내를 세밀하게 표출해 내는 뛰어난 감성의 피아니스트라는 평가를 듣고 있다.

독주자로서는 물론이고 콘서트 피아니스트로 수많은 오케스트라와 협연하고 있고, 실내악 주자로도 탄탄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그런가하면 자신보다도 2세대나 나이가 많은 바이올리니스트 요제프 시게티(Joseph Szigeti)와 듀오를 이루고 활발한 연주활동을 벌이기도 한다.

테크닉의 대가로 유명한 바이올리니스트 기돈 크레머, 첼로의 거장 미샤 마이스키 등과 유럽·미국·일본을 투어 하는가 하면 피아니스트 넬슨 프라이어(Nelson Freire)와는 피아노 듀오를 형성하고 녹음과 무대에서 연주한다. 아르헤리치와 2대의 피아노를 위한 연주에 나선 피아니스트는 그밖에도 스테판 비숍(Stephen Bishop), 니콜라스 에코노무(Nicolas Economou), 알렉산드르 라비노비치(Alexandre Rabinovitch) 등이 있다.

기돈 크레머, 미샤 마이스키와의 트리오 연주는 특히 주목을 끌고 있는데 그 가운데서도 1998년에 임프레사리오 라인하르트 파울젠(Reinhard Paulsen)을 기리며 열린 연주회에서 그들이 연주한 쇼스타코비치와 차이코프스키의 트리오는 놀라운 완성도와 감동을 지녔다는 평가를 받았다(이 연주실황은 DG에서 발표된바 있다).

가장 최근의 일로는 2000년에 카네기홀에서 열린 독주회로 거의 20여년만에 뉴욕에서 개최한 리사이틀이라는 것만으로도 화제에 올랐다.

지금까지 발표된 음반 가운데 독주앨범으로는 쇼팽, 바하, 브람스, 리스트, 슈만의 레퍼토리가 중심을 이루고 있고, 협주곡 부문에서는 쇼팽, 리스트, 라벨,프로코피에프, 베토벤, 하이든, 쇼스타코비치의 협주곡을 아바도, 시노폴리, 번스타인 등과 녹음했다. 그 가운데서도 요르그 파버(Jorg Farber)가 지휘하는 뷔템베르그 실내 오케스트라와 녹음한 하이든의 제11번 피아노 협주곡 과 쇼스타코비치의 협주곡 제1번은 도쿄 음반 아카데미상을 받았고, 아바도와 협연한 차이코프스키의 협주곡 제1번은 CD 컴펙트상을 1997년에 받았다.

실내악 부문에서는 로스트로포비치와 녹음한 쇼팽과 슈만의 실내악곡, 마이스키와 연주한 바하와 베토벤의 첼로 소나타, 크레머와 발표한 슈만, 바르톡, 야나체크, 메시앙의 실내악곡이 유명하다.

올페우스 챔버와 녹음한 멘델스존의 협주곡은 디아파종 상과 에디슨 상을 휩쓸었다. 아르헤리치는 청소년을 육성하는 데도 깊은 관심을 갖고 1999년에 제1회 국제 아르헤리치 경연대회를 열었다. 같은 해, 일본에서 아르헤리치 페스티발을 열고 공개 레슨과 마스터클라스를 운영하는 등 청소년 교육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연주가해설: 곽근수의음악이야기